-
헬라어로 보는 마태복음 19장 26절소소한이야기 2024. 12. 15. 00:40728x90반응형
헬라어 본문 (마태복음 19:26)
ἐμβλέψας δὲ ὁ Ἰησοῦς εἶπεν αὐτοῖς· Παρὰ ἀνθρώποις τοῦτο ἀδύνατόν ἐστιν, παρὰ δὲ θεῷ πάντα δυνατά ἐστιν.
단어별 의미:
- ἐμβλέψας (emblepsas): 바라보시며 (ἐμβλέπω의 분사형, "주의 깊게 보다"라는 뜻).
- δὲ (de): 그러나, 그리고 (문맥 연결사).
- ὁ Ἰησοῦς (ho Iēsous): 예수께서.
- εἶπεν (eipen): 말씀하셨다 (λέγω의 직설법 과거형).
- αὐτοῖς (autois): 그들에게 (간접 목적격, 복수형).
- Παρὰ ἀνθρώποις (Para anthrōpois): 사람에게는, 사람들에게는.
- παρὰ (para): "곁에, ~에게서"라는 뜻으로, 전치사.
- ἀνθρώποις (anthrōpois): 사람들 (ἀνθρώπος의 간접 목적격, 복수형).
- τοῦτο (touto): 이것.
- ἀδύνατόν (adynaton): 불가능한 (δύναμαι의 부정형, "가능하다"의 반대).
- ἐστιν (estin): ~이다 (ἐιμί의 현재형).
- παρὰ δὲ θεῷ (para de theō): 그러나 하나님께는.
- θεῷ (theō): 하나님께 (간접 목적격).
- πάντα (panta): 모든 것.
- δυνατά (dynata): 가능한 (δύναμαι의 형용사 형태).
- ἐστιν (estin): ~이다.
"예수께서 그들을 보시며 말씀하셨다. '사람에게는 이것이 불가능하지만, 하나님께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
- 문맥: 이 구절은 부자 청년과의 대화 이후에 나오는 말씀이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이 사람의 능력으로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강조하시며, 구원은 오직 하나님의 능력으로 가능함을 가르치신다.
- 대조 구조:
- Παρὰ ἀνθρώποις (사람에게는): 인간의 한계.
- παρὰ δὲ θεῷ (하나님께는): 하나님의 능력.
- 핵심 단어 "ἀδύνατόν"과 "δυνατά":
- 헬라어에서 "ἀδύνατόν"은 "불가능한"을 의미하며, 인간의 무력함을 나타낸다.
- 반면 "δυνατά"는 "가능한"을 의미하며, 하나님의 전능함을 강조한다.
신학적 의미:
- 하나님의 전능함: 인간이 스스로 구원에 이를 수 없으나, 하나님의 능력으로 가능하다.
- 겸손의 강조: 이 말씀은 인간의 교만을 꺾고, 하나님께 의지하도록 권고한다.
- 믿음의 초점: 구원은 인간의 행위나 능력이 아닌, 하나님에 대한 믿음과 의존에 달려 있음을 드러낸다.
헬라어 문법적 포인트:
- ἐμβλέψας는 분사 형태로, 예수님께서 주의 깊게 바라보셨음을 묘사한다.
- παρὰ는 전치사로, 사람과 하나님을 대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δυνατά ἐστιν과 같이 동사 뒤에 형용사를 두는 구조는 헬라어에서 강조의 의미를 담고 있다.
728x90반응형'소소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고가 되기 위하여 (0) 2024.12.15 도파민 채우기 (0) 2024.12.15 고난 속에서도 하나님을 신뢰하는 법: 희망과 위로의 메시지 (0) 2024.12.15 히브리어로 보는 이사야 43장 19절 (0) 2024.12.15 러시아어로 보는 히브리서 4장 10절 (0) 2024.12.11 히브리어로 보는 시편 116편 7절 (0) 2024.12.11 히브리어로 보는 시편 23편 1절 (0) 2024.12.11 히브리어로 보는 잠언 3장 5절 ~6절 (0) 2024.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