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히브리어로 보는 이사야 43장 19절소소한이야기 2024. 12. 15. 00:51728x90반응형
히브리어 본문 (이사야 43:19):
הִנֵּה עֹשֶׂה חֲדָשָׁה עַתָּה תִצְמָח הֲלֹא תֵדָעוּהָ אַף אָשִׂים בַּמִּדְבָּר דֶּרֶךְ בִּישִׁמֹן נְהָרוֹת.
단어별 분석:
- הִנֵּה (hinneh): "보라" (강조의 표현, 주의를 환기시키는 감탄사).
- עֹשֶׂה (oseh): "만든다" (עָשָׂה의 현재 분사형, "행하다, 만들다").
- חֲדָשָׁה (chadashah): "새로운 것" (חָדָשׁ, "새롭다"의 여성형 단수).
- עַתָּה (attah): "지금"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
- תִצְמָח (titsmach): "싹이 나다, 돋아나다" (צָמַח의 미완료형 3인칭 여성 단수).
- הֲלֹא (halo): "정말 ~하지 않느냐?" (강조의 부정문, 수사적 질문으로 사용).
- תֵדָעוּהָ (tedauhah): "너희가 그것을 알지 못하겠느냐?" (יָדַע의 2인칭 복수형, 뒤에 접미사 -הָ는 "그것").
- אַף (af): "게다가, 또한" (강조의 접속사).
- אָשִׂים (asim): "내가 두겠다, 놓겠다" (שִׂים의 미완료형 1인칭 단수).
- בַּמִּדְבָּר (bamidbar): "광야에서" (מִדְבָּר는 "광야, 사막").
- דֶּרֶךְ (derekh): "길" (여성 단수, "길, 도로").
- בִּישִׁמֹן (biyshimon): "황무지에서" (שִׁמֹן, "황무지, 척박한 땅").
- נְהָרוֹת (neharot): "강들" (נָהָר, "강"의 복수형).
"보라, 내가 새 일을 행하리니, 이제 그것이 싹이 날 것이다. 너희가 그것을 알지 못하겠느냐? 내가 참으로 광야에 길을 내고, 사막에 강을 내리라."
- 새 일을 행하심:
- 하나님께서 과거에 행하신 구원(예: 출애굽)뿐 아니라, 새로운 구원의 역사를 약속하심.
- "새 일"은 바벨론 포로에서의 해방, 그리고 궁극적으로 메시아를 통한 구원을 상징함.
- 광야와 사막:
- "광야"와 "사막"은 삶의 어려움, 메마름, 그리고 희망 없음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불가능한 곳에서도 새로운 길과 생명을 창조하심.
- 수사적 질문:
- "너희가 그것을 알지 못하겠느냐?"는 강조와 경각심을 주는 표현으로, 하나님의 행위를 깨달으라는 뜻을 담고 있다.
- 강조 구조:
- הִנֵּה와 אַף를 통해 하나님의 능력과 의지가 확고히 표현됨.
- "광야에 길"과 "사막에 강"이라는 대비적인 이미지로 하나님의 창조적 능력을 극적으로 보여줌.
히브리어 문법적 포인트:
- 분사와 미완료형의 조합:
- עֹשֶׂה는 "현재 진행 중인" 하나님의 활동을 암시하고, תִצְמָח은 결과로 나타날 미래를 예고한다.
- 대구법:
- "광야에 길을 내고"와 "사막에 강을 내리라"는 평행구조로 하나님의 약속을 시각적으로 강조한다.
이 구절은 하나님의 창조적 능력과 구원의 약속을 담은 매우 희망적인 말씀으로, 고난 중에도 하나님의 새로운 역사를 기대하게 하는 메시지를 전한다.
728x90반응형'소소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한 사람들의 습관과 긍정적인 사고방식의 비밀 (0) 2024.12.15 최고가 되기 위하여 (0) 2024.12.15 도파민 채우기 (0) 2024.12.15 고난 속에서도 하나님을 신뢰하는 법: 희망과 위로의 메시지 (0) 2024.12.15 헬라어로 보는 마태복음 19장 26절 (0) 2024.12.15 러시아어로 보는 히브리서 4장 10절 (0) 2024.12.11 히브리어로 보는 시편 116편 7절 (0) 2024.12.11 히브리어로 보는 시편 23편 1절 (0) 202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