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소한책읽기] 풍경 사진 잘 찍는 팁소소한이야기 2019. 12. 4. 00:44728x90반응형
좋은 사진을 만드는 정승익의 사진구도
어안렌즈와 광각렌즈
광각렌즈로 촬영하면 원근감이 탁월하고 인물을 독특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어안렌즈는 촬영각이 180도 이상 되는 초광각렌즈로 형상을 둥글게 왜곡하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표준렌즈와 망원렌즈
표준렌즈나 망원렌즈로 촬영하면 아웃포커스 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습니다. 즉 인물에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스마트폰/휴대기기
스마트폰은 대부분의 기종에서 줌 기능을 사용할 수 있지만 광각 기능이 약해 화면을 다양하게 표현하는 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 스마트폰, 태블릿, 휴대용 카메라 등으로 사진을 촬영할 경우 삼분할 안내선을 사용하면 화면분할이 용이하고 구도를 잡는 데 도움이 됩니다
풍경사진 촬영을 위한 구도
01 풍경사진을 위한 화면 구성
피사체에서 무엇을 느꼈으며 느낀 것을 정확하게 표현하려면 어떻게 접근하고 촬영해야 할지 뚜렷한 포인트를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1 풍경사진의 프레이밍 기법
아무리 좋은 풍경이라도 제대로 프레임을 잡지 못하면 원하는 풍경사진은 만들 수 없습니다.
프레이밍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의 피사체를 다각도에서 여러 가지 앵글을 사용하여 촬영해 본다. 셔터르 누르기 전에 한곳만 바라보지 말고 주 피사체를 어디서 어떻게 잘라줄 것인지 깊이 생각한 다음 주위에 있는 보조 피사체와 잘 어울리도록 프레이밍해보자
2 화면 구성의 조건
화면을 구성할 때는 주 피사체뿐 아니라 배경, 반사광, 입사광, 색의 대비, 형태 등 무수히 많은 조건을 함께 고려해야 하는데 이런 조건을 다 맞추는 일이란 쉬지 않습니다.
배경의 선택
광선과 구도
주 피사체와 배경 : 주 피사체를 부각시키려면 배경을 잘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접사촬영은 단순하면서도 주제를 부각시킬 수 있게 촬영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02 풍경 사진의 구도
1 수평선 구도
화면을 넓게 보이게 하며 안정감을 주고, 정적이면서도 부드러운 분위기로 평화로운 묘사에 효과적인 구도입니다
2 수직선 구도
높은 산이나 절벽, 고층 빌딩, 수직으로 높이 솟은 나무들처럼 높이를 표현하는 주제를 촬영할 경우에는 수직선 구도로 찍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수직선 구도는 높이와 깊이감, 엄숙함을 표현하고자 할 때 적합한 구도입니다. 세로로 달라는 수직선과 그 면은 동적인 느낌을 줍니다
3 사선 구도
기찻길이나 자동차 질주 사진 등에 사용되며 정적인 것과 동적인 것을 한 화면 안에 표현할 수 있습니다.
4 대각선 구도
화면에 웅장함과 무게감 등을 더할 수 있는 구도입니다. 화면이 양분되어 다소 불안정한 균형을 이루지만 새로운 시각으로 사물이 표현되기에 주제와 부제의 어울림에 따라 독특한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5 곡선 구도
유연성과 율동감을 표현할 수 있는 구도입니다.
6 방사형 구도
강한 율동미와 세련미를 추구하는 구도로 주제와 부제를 구분지어 주어 내용을 부드럽게 합니다.
7 삼각형 구도
사진의 기본 구도이며, 원형 구도와 함께 중앙 집중적인 특성을 보입니다.
8 역삼각형 구도
삼각형 구도가 뒤집어진 형태로 넘어질 것 같은 불안정한 느낌을 주며 동적인 이미지를 표현합니다.
9 중앙중점 구도
가장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구도로 화면 중앙에 시선을 집중시킵니다. 주제에 대한 강한 인상을 표현하고 싶을 때 자주 쓰입니다.
10 대칭형 구도
화면의 상하좌우를 나누어 대칭 효과를 주는 구도입니다
11 터널형 구도
폭포가 떨어지는 공간이나 바위를 타고 내려오는 물줄기 등 명암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대상을 촬영할 때 주로 사용하는 구도입니다
12 바둑판 구도
구성미를 강조하는 구도로 많이 사용됩니다. 구성미를 잘 살리면 주제부의 강조까지도 잘 나타나는 구도입니다
03 소재별 구도
1 일출, 일몰
주 피사체인 태양을 중심으로 구도를 결정합니다.
일출, 일몰 사진은 주 피사체인 태양 주변에 시선을 끌기에 충분한 보조 피사체를 배치하여 동적인 화면으로 구성한다
2 야경
특별히 신경 써야 할 요소는 빛입니다.
야경 사진은 중심이 되는 빛을 선정하고, 주변에는 가능한 많은 불빛이 들어가도록 촬영하며, 되도록 화려한 사진이 되도록 촬영하는 것이 좋다
3 설경
설경 사진은 하얀 눈을 배경으로 촬영하는 만큼 눈을 강조하는 것이 핵심이다
설경 촬영은 차가우면서도 포근한 눈의 양면성을 느낌 그대로 표현해내는 것이 포인트다. 부드러우면서도 자연스럽게 눈의 양면성을 표현하려면 각 시점에 따른 설경 구도를 미리 머릿속에 그리면서 다양한 장면을 표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4 하늘과 구름
하늘과 구름이 화면에 1/2 이상 담기도록 촬영하여 주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상의 물체와 적절하게 배치해야 하며 이때 명암, 색, 대비, 구성 등을 신중하게 결정한다
5 산, 운해
안개, 구름의 움직임이나 수목 등을 포인트로 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태양이 비교적 낮은 위치에 있을 때 촬영하는 것이 암석과 수목의 입체감을 살리는 데 효과적입니다. 촬영 구도는 대체로 사선이나 대각선이 부각되도록 잡는 것이 좋습니다.
산, 운해 사진에서는 원경에 있는 산의 능선을 강조하고 수목이나 안개 등을 화면에 배치한다. 특히 능선을 배치할 때는 화면 중앙이 아닌 상하좌우의 삼분할 점과 선에 놓이도록 한다.
6 바다
기본적으로 수평의 평행선을 화면에 유지하고 특징적인 피사체를 화면의 적저한 부분에 담아주면 그 형태에 따라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바다 사진에서는 바다의 수평선과 시선을 고정시킬 만한 특징적인 피사체를 선정하여 색, 대비, 대칭, 안정적인 면을 고려해 화면을 구성해야 한다
7 초원
초원 사진의 핵심은 선과 색입니다. 구도와 프레이밍을 통해 선과 색이 최적의 아름다움을 보이도록 연출해야 하며, 주제가 부각되도록 화면을 구성해야 합니다
초원 사진에서는 선과 명암, 색을 중심으로 주제를 선정한다
8 계류, 폭포
물의 힘과 진행 방향, 빛과 공간의 프레이밍, 앵글과 화각에 중점을 두고 촬영한다. 화면에 포함될 주변의 바위나 나무 등과 같은 배경이 주 피사체인 계류, 폭포와 균형감 있게 배치되어야 한다.
9 호수, 늪
많은 피사체를 화면에 넣는 것보다 특징이 될 만한 피사체 이외에는 과감하게 제거하여 간결한 화면으로 구성한다
10 꽃
되도록 가까이에서 촬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경색은 되도록 꽃의 색과 대비되는 색을 선택하고, 화면에 시선을 분산시킬 만한 불필요한 물체가 담기지 않도록 한다. 꽃을 클로즈업하여 화면에 가득 배치하고 여백을 적절히 활용한다
11 나무
나무 사진을 감각적으로 찍으려면 나무 전체를 담으려고 하지 말자. 찍고 싶은 나무를 선택했다면 그 나무의 일부분을 클로즈업하여 화면을 구성한다. 주 피사체 주변에 있는 동일한 피사체를 조리개를 개방해서 흐리게 표현하면 주 피사체인 나무가 더 부각된다
12 새
작은 개체의 조류를 촬영할 때에는 화면에 가득 차도록 클로즈업하여 촬영하고, 중심에 두는 것은 피해야 한다. 되도록 배경과 조화되도록 프레이밍하고, 조류는 화면 중앙에서 화면 위쪽 1/3 지점인 높은 곳에 배치하는 것이 안정적이다.
13 곤충, 동물
중앙중점 구도를 주로 이용합니다.
곤충 촬영의 핵심은 대상이 되는 곤충을 선명하게 표현하면서 주변 배경과 적절하게 조화되도록 프레이밍 하는 것이다. 곤충과 배경은 또렷하게 대비되도록 색의 구분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좋다.
14 정물
정물 사진은 촬영자의 감성으로 사물을 재구성한 이미지입니다. 컬러와 톤, 콘트라스트, 앵글과 프레임, 화면의 구성 등 시각적인 요소가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였을 때 좋은 정물 사진이 됩니다.
728x90반응형'소소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소한일상이야기] 파올라 레이나 원피스 만들기, 모자 스카프 코바늘 뜨기 (0) 2019.12.18 [소소한책읽기] 흑요석이 그리는 한복 이야기 (0) 2019.12.14 [소소한일상이야기] 인형 놀이, 코바늘 뜨기 (0) 2019.12.08 [소소한책읽기] 서울 가면 어디서 잘까 (0) 2019.12.06 [소소한일상이야기] 2020 스타벅스 플래너 혹은 다이어리 (0) 2019.12.02 [소소한책읽기] 헤드 스트롱 _ 두뇌 강화 프로그램 (2) 2019.11.19 [소소한일상이야기] 필동 원데이클래스, 필동 멸치국수 (0) 2019.11.16 [소소한책읽기] 자료 정보 분류론 (0) 2019.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