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소한책읽기] 교양 국어 시댁 식구 처가 식구 부르는 법, 지칭하는 법소소한이야기 2020. 8. 25. 21:50728x90반응형
새로운 교육 과정에 맞춘 교양 국어
국문학 박사 오대혁
호칭어와 지칭어
호칭어 : 일상적인 대화에서 상대방을 부르는 말
지칭어 : 다른 사람을 가리켜 이르는 말
가정 내 호칭어와 지칭어
■ 부모에 대한 지칭, 호칭어
[아버지]
돌아가셨을 때 : 호칭어 현고顯考 / 지칭어 선친先親, 선고 先考, 선부군 先父君
l 타인 선대인 先大人, 선고장 先考丈, 선장 仙仗
살아 계실 때 : 호칭어 아빠, 아버지 / 지칭어 가친 家親, 엄친 嚴親, 부주 父主
l 타인 춘부장 春府丈, 춘장 春裝,, 춘당 春堂, 대인 大人
[어머니]
돌아가셨을 때 : 호칭어 현비 顯妣 / 지칭어 선비 先妣, 선자 先慈
l 타인 선대부인 先大夫人, 선부인 先夫人
살아 계실 때 : 호칭어 엄마, 어머니 / 지칭어 자친 慈親 모주 母主 가자 家慈 모친 母親
l 타인 자당 慈堂 대부인 大夫人 모당 母堂 훤당 萱堂 모부인 母夫人
살아계신 자신의 부모를 가리킬 때는 님자를 붙이는데 이는 잘못이다
■ 자녀에 대한 지칭, 호칭어
아들에 대한 지칭, 호칭어
결혼 전에는 이름을 부르고, 결혼 후에는 아범(아비), 자녀를 두게 되면 OO아범 이라 부른다
자기 아들에 대한 지칭어 : 가아 家兒 가돈 家豚, 돈아 豚兒, 미돈 迷豚
타인의 아들에 대한 지칭어 : 영랑 令郞, 영식 令息, 영윤 令胤
딸에 대한 지칭, 호칭어
결혼 전에는 이름을 부르고, 결혼 후 자식을 낳고 나면 OO 어멈(어미) 라고 부른다
자기 딸에 대한 지칭어 : 여식 女息, 식비 息鄙
타인의 딸에 대한 지칭어 : 영애 令愛, 영교 令嬌, 영양 令孃
■ 시부모에 대한 호칭, 지칭어
호칭어 : 시아버지 – 아버님, 시어머니 – 어머님, 어머니
지칭어
시조부모에게 : 시아버지 – 아버님, 시어머니 – 어머님, 어머니
남편에게 : 시아버지 – 아버님, 시어머니 – 어머님
친정 쪽 사람에게 : 시아버지 – 시아버님/시아버지, 시어머니 – 시어머님, 시어머니
■ 며느리에 대한 호칭, 지칭어
호칭어 : 아가, 새아가, OO 어미(어멈), 얘
지칭어 : 며늘애, 새아가, OO 어미(어멈), 이름을 넣어 OO 댁, OO 처
사돈에게 자신의 며느리를 가리킬 때 : 며늘애, OO 어미
■ 장인, 장모, 사위에 대한 호칭, 지칭어
호칭어 : 장인은 장인 어른, 아버님, 장모는 장모님, 어머님
빙장 어른, 빙모님은 자신의 처부모가 아닌 남의 처부모를 높여 부르는 말
장인과 장모가 사위를 부를 때 : O 서방, 여보게, 지칭할 때는 O 서방
■ 남편에 대한 호칭, 지칭어
호칭어 : 여보가 가장 좋은 호칭
자기(야), 오빠, 아저씨, 아빠 등은 안 된다
아이가 있을 경우 OO 아버지(아빠)라고 할 수 있다
나이가 들면 영감, OO 할아버지, OO 아버지
지칭어
시부모 앞에서 : 아이가 없으면 그이(이이, 저이), 아이가 있으면 아비, 아범
친정 부모에게 : O 서방, 그 사람
■아내에 대한 호칭, 지칭어
호칭어 : 신혼 초에는 여보, OO씨, 아이가 생기면 OO 어머니(엄마)
장, 노년기에는 임자라 호칭하기도 한다
지칭어
부모에게 OO 어미(어멈), 그(이, 저) 사람
자신의 부모 앞에서는 OO엄마, 집사람, 안사람, 처 라고 하지 않는다
처부모에게는 OO엄마, 집사람, 안사람 이라 할 수 있다
동기나 그 배우자에게 OO엄마
형, 누나, 형수 매부, 제수 등에게 집사람, 안사람, 처를 써도 좋으나
손아래인 남동생과 누이동생에게 지칭할 때는 형수, 언니, 새언니 와 같은 말을 쓴다
처의 동기나 그 배우자에게 아내를 가리킬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손위 처남이나 처형, 처남의 댁, 동서에게 OO엄마, 집사람, 안사람, 처
손아래 처남이나 처제에게 OO엄마, 누나, 언니
잘 모르는 타인에게 집사람, 안사람, 아내, 처
■ 동기와 그 배우자에 대한 호칭, 지칭어
자신이 남자인 경우
형과 형의 배우자에게 : 형(님) / 아주머님, 아주머니 형수님
남동생과 그 배우자에게 : 아우, 동생 / 제수씨, 계수씨
누나와 그 배우자에게 : 누나, 누님 / 매부, 매형, 자형
여동생과 그 배우자에게 : 동생 / 매부, O 서방
남자의 여동생의 남편을 호칭, 지칭할 때 매제를 쓸 수 있도록 하였다
자신이 여자인 경우
오빠와 그 배우자에게 : 오빠, 오라머니(님) / (새)언니
오빠의 아내를 부모와 동기에게 지칭할 때 : (새)언니, 올케
남동생과 그 배우자에게 : 이름 또는 동생 / 올케
언니와 그 배우자에게 : 언니 / 형부
여동생과 그 배우자에게 : 이름 또는 동생 / O 서방, O 서방님
여자의 여동생의 남편을 호칭, 지칭할 때 제부를 쓸 수 있도록 하였다
■ 남편의 동기과 그 배우자에 대한 호칭, 지칭어
남편의 형과 그 배우자 : 아주버님 / 형님
지칭어 : 시아주버니, OO 큰아버지 / 큰동서(맏동서) , OO 큰어머니
남편의 형이 여럿이면 첫째, 둘째 등으로 , 또는 지역 이름 넣어 제주도 큰아버지
남편의 형을 지칭하는 말로 시숙을 추가하였다
남편의 아우와 그 배우자 : 미혼이면 도련님, 기혼이면 서방님 / 동서
지칭어 : 시동생, OO 작은 아버지, OO 삼촌 / 동서, OO 작은어머니
아이에게 기대어 삼촌, 고모 등의 간접 호칭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남편의 누나와 그 배우자 : 형님 / 아주버님
남편 누나의 남편을 호칭, 지칭할 때 아주버님, 서방님을 쓸 수 있다고 하였던 것을 아주버님만 쓰도록 하였다
남편의 누이동생과 그 배우자 : 아가씨, 아기씨 / 서방님
■ 아내의 동기와 그 배우자에 대한 호칭, 지칭어
아내의 오빠가 자신보다 나이가 많으면 형님이라고 부르고, 나이가 적으면 처남이라고 부른다
자신의 부모나 동기, 타인들에게는 처남, OO 외삼촌으로 지칭
아내 오빠의 아내(손위 처남의 댁)를 호칭하는 말은 아주머니, 남에게 가리켜 말할 때에는 처남의 댁으로 한다
아내의 남동생을 부르거나 가리키는 말은 처남이지만 나이가 아주 어리면 이름을 부를 수 있다. 그 배우자는 처남의 댁이라고 부른다
아내 오빠의 아내를 지칭하는 말, 아내 남동생의 아내를 호칭, 지칭하는 말로 처남의 댁만 있었던 것을 처남댁도 가능한 것으로 보아 추가하였다
아내의 언니와 그 배우자 : 처형 / 형님 (손위 동서), 동서(손아랫동서)
아내의 여동생과 그 배우자 : 처제 / 동서, O 서방, 자기보다 나이가 많으면 동서
■ 숙질 사이의 호칭, 지칭어
아버지의 형과 그 배우자 : 큰아버지 / 큰어머니
아버지의 남동생과 그 배우자 : 삼촌, 아저씨 (혼전), 작은아버지(혼주) / 작은어머니
성년이 되어서 조카가 아저씨보다 다섯 살 이상이면 서로 존대하고,
다섯 살 미만이면 항렬을 따라서 조카가 아저씨에게 존대를 해야 한다
장조카는 예우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버지의 누이와 그 배우자 : 고모, 아주머니 / 고모부, 아저씨
어머니의 자매와 그 배우자 : 이모, 아주머니 / 이모부, 아저씨
어머니의 남자 형제와 그 배우자 : 외삼촌, 아저씨 / 외숙모, 아주머니
자신의 외삼촌을 자녀들에게 지칭할 때 : 진외종조부(님), 진외할버지(자녀의 입장)
진외할아버지는 아버지의 외할아버지나 아버지의 외삼촌 모두를 가리킨다
조카나 조카딸은 어릴 때는 이름을 부르고 장성하면 조카 또는 OO 아비(아범), OO 어미(어멈)로 쓴다
시댁의 조카는 나이가 더 많을 경우 조카님이라고 해야 한다
조카의 아내는 아가, 새아가 OO어미, OO 어멈으로 부르고
조카 사위도 O 서방, OO 아범, OO아비 로 부른다
728x90반응형'소소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소한책읽기] 탐식생활 해초 굴 과메기 꼬막 (0) 2020.09.14 [소소한책읽기] 네이버 데이터센터 데이터 각 (4) 2020.09.12 [소소한책읽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 독일어 국어 영어 (0) 2020.09.02 [소소한일상이야기] 루카스 그린 라떼, 티라미수라떼, 라떼 밀크티, 오뚜기 밀크티, 티젠 말차 라떼 (0) 2020.08.28 [소소한책읽기] 처음 시작하는 인형옷 패턴 교과서 2 (0) 2020.08.21 [소소한책읽기] 나는 후회하는 삶을 그만두기로 했다 (0) 2020.08.21 [소소한책읽기] 소셜 폴라리스 (0) 2020.08.18 [소소한책읽기] 이 공식을 모르면 PT 하지 마라 (0) 2020.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