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스마트무인기 개발, 다목적 성층권 비행선 개발, 국내최초초음송 항공기 T-50개발, 그리고 한국형 다목적 헬기KMH의 개발 등 세계적인 추세에 맞게 첨단기술의 도입과 응용에 중점을 두어 진행되고 있다.
한국의 연
형태와 문양에 따라 종류를 구별, 약 100여 종에 이른다.
형태에 따라 방패연, 가오리연, 창작연으로 나눌 수 있다
방패연 : 사각 장방형의 중앙에 방구멍이 뚫려 있다, 방구멍은 연이 안정되게 날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연에 구멍을 뚫음으로써 연 뒤에 발생하는 난류를 억제하여 안정되게 날게 한다.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형태이다.
가오리연 : 마름모꼴의 꼬리가 있다
항공기 내 반입물품
항공기 내 반입금지 위해물품은 항공기의 안전운행을 저해하거나 운항을 불가능하게 하는 불법방해행위를 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위험 가능성이 있는 물건을 말한다. 항공위험물은 항공법에서 정한대로 위험물임을 신고하고 포장, 표기 및 엄격한 절차에 따라 운송되어야 하고 위반시 2천만원 이하의 과태료에 처할 수 있다.
대표적인 항공위험물은 폭발물, 가스류, 인화성 액체/고체, 산화성 물질, 독성 및 전염성 물질, 방사성 물질, 부식성 물질 등이다.
보조 리튬배터리, 소형라이터, 전자담배는 기내반입이 가능하다
대한항공 항공상식 Q&A
항공기 객실승무원
여객기에 객실 전문요원을 도입, 가장 먼저 객실승무원을 탑승시킨 항공사는 1928년 독일의 ㄹ루프트한자였다. 그러나 이때는 남자 승무원, 스튜어드가 탑승했다. 여성 승무원, 스튜어디스가 여객기에 탑승하기 시작한 것은 미국에서부터였다.
교체공항 Alternate Airport
목적지 공항이 기상악화나 다른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항공기 착륙이 어려울 때를 대비해 항공기 출발 전에 목적지 공항 주변에 착륙 가능한 공항을 선정해 둠으로써 비행기 및 승객의 안전을 도모한다.
버드 스트라이크 Bird Strike
조류의 항공기 충돌, 상황에 따라 항공기에 큰 피해를 입힌다
이륙직후나 착륙직전인 지상 2.5km 이하 상공에서 새와 충돌할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
시속 370km로 상승 중인 항공기에 중량 900g 청둥오리 한 마리가 충돌했다고 할 때, 항공기가 받는 순간 충격은 4.8톤이나 된다
제일 문제가 되는 사례는 새가 엔진 속으로 빨려 들어갔을 경우인데, 엔진의 팬 블레이드를 망가뜨리거나 심하면 엔진을 태울 수도 있다.
인천국제공항은 조류 퇴치 요원들이 교대로 근무하며, 점검차량이 각 활주로 양쪽 말단에 배치돼 쉬지 않고 이동하며 조류 서식 여부를 확인한다.
친환경 퇴치법을 활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새들이 고통 받는 소리나 천적 소기를 내는 경보기를 가동시키고, 바람에 흔들리는 인형을 설치한다
기상과 활주로 노면 조건 등이 양호한 경우, 보통 강하율이 분당 30미터 정도의 속도로 착륙하게 되는데, 이 때 승객은 접지가 부드럽게 이루어졌다고 느끼게 된다
펌 랜딩 Firm Landing
운항 조종사의 의도와 통제 아래 충격을 가해 내리는 방법. 이상 상황에서 활주로와 타이어 사이의 마찰 계수를 높잎으로써 활주거리를 단축해 항공기가 활주로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법이다.
항공기의 타이어는 단순히 지상에서 이동에 필요한 부품이 아닌 제동장치의 하나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드 랜딩 Hard Landing
보통 강하율이 분당 60~90미터에 이르는데 이때 승객들은 착륙의 느낌을 좀더 강하게 받게 된다. 하드 랜딩은 극히 예외적으로 조종사와 의도와 상관없이 접지 순간 갑작스러운 돌풍 등으로 항공기가 활주로에 강하게 접지되면서 착륙하는 경우인데, 바퀴 손상 등 기체에 무리가 올 수도 있다
항공독립운동연표
1919년 4월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정 방침 군사편, 비행기대 편성 계획
비행기대 편성 : 미국에 가감할 청년을 선발하여 비행대를 조직하고 비행기 제조와 비행전술을 학습케 함
1919년 11월 임시정부의 육군 비행대 창설 구상
1919년 항공 선각자들의 활약과 독립군 비행학교 계획
독립군 비행학교 설립 핵심 인물 : 노백린, 곽임대, 김종립 등
1919년 ~ 1920년 중국에서 서왈보, 김공집, 최용덕 등이 항공계에 입문, 비행사로 활약하기 시작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