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각에 관한 생각 우리는 왜 쉽게 속을까?소소한이야기 2025. 4. 6. 23:02728x90반응형
[심리학] 『생각에 관한 생각』 요약: 우리는 왜 쉽게 속을까?
대니얼 카너먼의 『Thinking, Fast and Slow』는 인간의 두 가지 사고 체계인 시스템 1과 시스템 2를 중심으로 우리의 판단과 선택이 얼마나 쉽게 왜곡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책이다.
두 가지 사고 체계: 시스템 1 vs 시스템 2
시스템 1 시스템 2빠르고 직관적이며 자동적이다. 노력 없이 즉각적인 판단을 한다. 느리고 논리적이며 계산적이다. 집중력과 에너지를 요한다. - 시스템 1은 대부분의 일상적인 판단과 반응을 담당하지만, 쉽게 착각에 빠지고 오류를 범한다.
- 시스템 2는 더 신중한 사고를 담당하지만, 귀찮거나 피곤할 때는 이를 작동시키지 않으려 한다.
시스템 1은 우리를 어떻게 속이는가?
자제력 고갈 (Ego Depletion)
자신을 통제하거나 억제하려 하면, 다음 과제에서 더 쉽게 무너진다.
프라이밍 효과 (Priming Effect)
무의식적으로 받은 자극이 이후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인지적 용이성 (Cognitive Ease)
기분이 좋으면 판단이 쉬워지고, 복잡한 정보는 회피하게 된다.
W.Y.S.I.A.T.I (What You See Is All There Is)
보이는 정보만으로 결론을 내리려는 경향. 시스템 1은 숨겨진 정보는 무시한다.
성급한 결론 도출 (Jump to Conclusions)
불충분한 정보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결론 내리기.
인과관계 착각 (Illusion of Causality)
패턴이나 우연한 사건에서 잘못된 인과관계를 찾아내는 경향.
판단에 미치는 영향은?
작은 숫자의 법칙 (Law of Small Numbers)
적은 표본만으로도 큰 결론을 도출하려 함. 예: 몇 명의 의견만 듣고 전체를 판단.
고정 효과 (Anchoring Effect)
처음 제시된 정보에 판단이 고정됨. 예: 가격 협상 시 첫 제시가 기준이 됨.
평균 회귀 (Regression to the Mean)
극단적인 결과는 결국 평균으로 돌아가는데, 이를 무시하고 해석하려 함.
우리는 왜 잘 못 보는가?
내러티브 오류 (Narrative Fallacy)
사건을 이야기로 만들며 단순화하고, 거기서 잘못된 의미를 찾는다.
후견지명 편향 (Hindsight Bias)
결과를 알고 나서 과거를 "당연히 그렇게 될 줄 알았다"고 왜곡함.
계획 오류 (Planning Fallacy)
시간과 자원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예측함. 실제보다 더 짧고 쉽게 끝날 거라 믿는다.
왜 비합리적인 선택을 하는가?
손실 회피 (Loss Aversion)
이익보다 손실을 더 크게 느낀다. 잃지 않기 위해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려 한다.
보유 효과 (Endowment Effect)
한 번 소유한 것은 실제보다 더 큰 가치를 부여한다.
심리적 회계 (Mental Accounts)
돈을 실제 가용성과 무관하게 다르게 취급한다. 예: 복권 당첨금 vs 월급.
확률 왜곡 (Rare Event Bias)
드물게 일어나는 일의 가능성을 과대평가하거나 무시한다.
마무리
"당신이 인지적 지뢰밭에 있다는 신호를 인식하고, 속도를 늦추며 시스템 2를 작동시켜라."
이 책은 우리가 얼마나 무의식적으로 편향된 선택을 하는지, 그 이유와 해결책까지 제시한다. 모든 사고를 시스템 2로 처리할 수는 없지만, 시스템 1이 만든 오류를 의식하고 의심하는 태도는 매우 중요하다.
728x90반응형'소소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은 빠를수록 위험하다? 『생각에 관한 생각』 요약 정리 (0) 2025.04.01 극한의 책임이란 무엇인가? (0) 2025.04.01 『Getting Things Done』(GTD) 스트레스 없이 일과 삶을 정리 (0) 2025.03.30 『Deep Work』 요약 집중의 힘, 깊이 있는 삶을 위한 4가지 규칙 (0) 2025.03.30 인도네시아어로 써진 시 결심 (0) 2025.03.28 아담 그랜트 다시 생각하기 책 한 권 간단 요약 (0) 2025.03.22 일본 컨텐츠 술술 이해하기 (0) 2025.03.22 일본어 헤어질 때는 이렇게 말한다 (0) 2025.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