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상 가장 높은 IQ 228, 마릴린 보스 사반 – 그녀가 ‘틀렸다’고 욕먹은 이유는?소소한이야기 2025. 3. 22. 00:42728x90반응형
IQ 228, 천재 소녀의 이름을 아시나요?
아인슈타인의 IQ는 160~190,
스티븐 호킹은 160,
일론 머스크는 155.그렇다면…
IQ 228이라는 숫자를 본 적 있으신가요?이 수치를 가진 전 세계 최고 지능의 소유자, 그녀의 이름은 마릴린 보스 사반(Marilyn vos Savant)입니다.
누구도 관심 주지 않았던 어린 천재
마릴린은 평범한 아이가 아니었습니다.
- 10살에 전집을 통째로 암기하고
- 백과사전 ‘브리태니커’ 24권 전권을 독파하며
- IQ 테스트에서 역사상 가장 높은 점수, 228점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그 천재성에도 불구하고,
세상은 그녀를 쉽게 인정해주지 않았습니다.“아무도 나에게 관심을 주지 않았어요.
주로 여자아이였기 때문이죠. 전 그걸 받아들였어요.”그녀는 평범한 공립학교에 다녔고, 워싱턴대학교에 입학했지만 2년 만에 자퇴해 부모님의 사업을 돕게 됩니다.
기네스북에 오른 그녀, 그리고 칼럼니스트로서의 전환
1985년, 기네스북에 ‘세계 최고 IQ 보유자’로 공식 등록되면서 전 세계 언론의 스포트라이트가 쏟아졌습니다.
뉴욕 매거진과 퍼레이드 매거진의 표지를 장식하고, 토크쇼 ‘데이비드 레터맨 쇼’에 출연하는 등 대중의 눈에 비친 ‘여성 천재’는 매력적인 소재였죠.
이후 그녀는 퍼레이드 매거진의 “Ask Marilyn” 칼럼을 맡게 되었고, 지적 호기심이 넘치던 그녀에게는 꿈 같은 자리였습니다.
그러나 그 칼럼 하나가, 전 국민의 공격을 불러올 줄은 아무도 몰랐습니다.
문제의 시작 – ‘몬티 홀 문제’
1990년 9월, 그녀는 칼럼에서 한 독자가 보낸 수학 문제에 답하게 됩니다.
이 문제는 이후 ‘몬티 홀 문제’로 유명해지죠.게임쇼에서 세 개의 문 중 하나를 고릅니다.
하나는 자동차, 나머지는 염소입니다.
사회자가 염소가 있는 다른 문 하나를 엽니다.
이제 바꿀 수 있는 기회가 왔습니다.
문을 바꾸는 게 이득일까요?마릴린의 대답은 단호했습니다.
“네, 바꾸는 것이 확률상 유리합니다.”
수학자들의 분노, 쏟아지는 비난 편지
이 단순해 보이는 수학 문제에 대해 무려 1,000명의 박사를 포함한 10,000명 이상의 독자들이 분노의 편지를 보냅니다.
- “당신이야말로 염소군요!”
- “틀렸습니다. 제대로 망치셨네요.”
- “역시 여자는 수학을 다르게 보나 봅니다.”
그녀는 조롱과 비난을 견뎌야 했습니다.
그녀의 천재성조차 부정당하기 시작했죠.그녀의 논리는 옳았다 – MIT가 증명하다
그녀는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 처음 고른 문이 정답일 확률은 1/3
→ 바꾸면 실패 - 처음 고른 문이 틀렸을 확률은 2/3
→ 사회자가 나머지 염소 문을 열고, 바꾸면 정답일 확률이 2/3
결론: 문을 바꾸는 것이 이긴 확률이 두 배 더 높다.
MIT는 이 문제를 컴퓨터로 수천 번 시뮬레이션했고, 그녀가 옳았음을 입증했습니다.
심지어 "MythBusters"도 실험을 통해 같은 결과를 확인했습니다.그럼에도 왜 사람들은 틀렸다고 생각했을까?
사람들이 마릴린의 논리를 받아들이지 못했던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새로운 선택이 생기면 확률이 리셋된다고 착각
- 세 개의 선택지라는 작은 수가 오히려 헷갈림
- 대부분 사람들이 “이제 50:50 아닐까?”라고 오해
수학적으로는 명백하지만, 직관적으로는 헷갈리는 문제였던 것입니다.
그녀가 지적한 진짜 문제는 '교육'
마릴린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서 좌절하는 이유를 교육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로 지적합니다.
“지금의 교육은 수동적인 학습자만 만들어냅니다.
아이들이 스스로 탐구하고 질문하는 걸 막고 있어요.”그녀는 더 많은 사람이 스스로 생각하고 질문하는 힘을 가질 수 있어야 진짜 지적 사회가 가능하다고 믿습니다.
혼자서 가장 높은 곳에 서 있는 사람
IQ 228.
그녀에게는 질문할 사람이 없을 정도의 고독함이 있습니다.
그녀는 자신이 너무 똑똑해서 외롭다고 말합니다.하지만 동시에 그녀는 말합니다.
“지능은 나에게 주어진 축복이에요.”
마릴린 보스 사반의 이야기는 단순한 '천재의 삶'이 아니라, 사회가 천재를 어떻게 대하고, 또 얼마나 쉽게 무시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는 그녀처럼 되지 않더라도, 그녀처럼 생각하려는 시도는 해볼 수 있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누군가는 마릴린이 맞았음을 뒤늦게 인정하고 있을지 모릅니다.
728x90반응형'소소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네시아어로 써진 시 결심 (0) 2025.03.28 아담 그랜트 다시 생각하기 책 한 권 간단 요약 (0) 2025.03.22 일본 컨텐츠 술술 이해하기 (0) 2025.03.22 일본어 헤어질 때는 이렇게 말한다 (0) 2025.03.22 아무것도 하기 싫은 날, 나를 회복시키는 과학적 루틴 7가지 (0) 2025.03.21 영어로 속물은? (0) 2025.03.20 트럼프와 푸틴 간의 제한적인 휴전 합의 (0) 2025.03.19 외국어 학습을 위한 황금키워드 (0) 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