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소한책읽기] 라틴어 문장 수업 사랑으로 불가능한 일은 없나니카테고리 없음 2020. 4. 27. 13:51728x90반응형
하루 한 문장으로 배우는 품격 있는 삶라틴어 문장 수업사랑으로 불가능한 일은 없나니 Amor vincit omnia
그리스 신화를 수입한 로마인들은 에로스를 큐피도 Cupido라고 불렀고 영어로는 큐피드Cupide가 된다
라틴어 시에서는 Amor가 큐피드를 가리키며, 사랑이라는 명사가 되어 아모레 Amore(이태리어), 아무르 Amour(프랑스어), 아모르 Amor (스페인어) 같은 말로 주변국에 퍼진다
아모르 윈키트 옴니아 (사랑은 쟁취한다 모든 것을)
동사 vincit : ego vinco, tu vincis, is vincit, nos vincimus, vos vincitis, ii vincunt
승리의 여신 victoria의 이름은 vincere 동사의 과거분사형 victus에서 나온 말이다
사랑받고 싶으면 사랑하라 Si vis Amari ama
라틴어는 두 개의 동사 원형을 갖는다. 능동형의 원형과 수동형의 원형이 각각 존재한다.
라틴어의 소유 형용사는 meus 나의, tuus 너의, suus 그의, 인칭마다 변한다
시 비스 아마리 아마 (만약 (너가) 원하다 사랑받다 사랑해라), 세네카
Ego volo, tu vis, is vult, nos volumus, vos vultis, ii volnut
나에게 천 번의 입맞춤을 주세요 Da mihi mutla basia
베사메무처 Besa me mucho, 입맞춤을 나에게 많이…..
로마의 카툴루스라는 시인의 시에 따온 표현이다
태양은 어제도 그리고 오늘도 다시 뜨고 질 거예요
그러나 순간을 비추는 그 빛이 사라지면
우리에게는 영원한 밤의 어둠만이 남아요
그러니 내게 천 번의 키스를 해줘요
그리고 다시 백 번을 더 해줘요
우리가 함께 한 수천 번의 키스를 훔쳐 본 자가 있거든
세어보라고 하지요
세다가 세다가 우리를 질투하는 것을 잊어버리고 말 거예요
다 미히 물타 바시아 (줘라 나에게 많은 입맞춤들을)
사비디, 나는 너를 사랑하지 않아, 그 이유를 말할 수는 없어 Non amo te, Sabidi, nec possum dicere quare
사비디, 나는 너를 사랑하지 않아, 그 이유를 말할 수는 없어
하지만 이것만은 말할 수 있어: 너를 사랑하지 않는다고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마르티알리스
논 아모 테 사비디, 네크 포슘 디케레 쿠이레(~아니다 사랑하다 너를 사비디, ~없다 할 수 있다 말하다 왜)
나는 새 노래들을 처녀들과 청년들에게 불러준다 Carmina nova virginibus puerisque canto
카르미나 노바 비르기니부스 푸에리스쿠에 칸토 (노래들을 새로운 처녀들에게 소년들에게 나는 노래를 부른다)
사랑하는 사람들은 모두 싸우나니 Militat omnis amans, et habet sua castra Cupido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의 사랑의 일부
모든 연인들은 싸우네
큐피드도 자신만의 병영이 있으니,
아티우스, 내 말을 믿게, 모든 연인들은 싸우나니
전쟁에 적합한 나이라면 사랑에도 적합하네.
노인의 사랑은 추하듯이 노병도 전쟁에는 맞지 않네
밀리타트 옴니스 아만스, 에트 하베트 수아 카스타라 쿠피도 (싸운다 각자는 사랑하는 그리고 가지고 있다 자신의 병영을 큐피드는)
사랑하라 그리고 네가 하고 싶은 것을 해라 Dilige et fac quod vis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사랑을 강조하며 말한 경구
딜리게 에트 파크 쿠오드 비스 ( 사랑하라 그리고 해라 ~것을 네가 원하다)
신을 사랑하라, 그리고 네가 원하는 것을 해라. 그러면 모든 것이 이루어질 것이다
과거는 주님의 자비에 맡기고 현재는 주님의 사랑에 비래는 주님의 섭리에 맡겨라.
사랑하면서 동시에 현명하기란 신도 불가능하다 Amare et sapere vix deo conceditur
아마레 에트 사페레 빅스 데오 콘케디투르 (사랑하다 그리고 알다 어렵게 신에게 감내하다)
걱정하지 마세요. 좋은 일도 나쁜 일도 우리는 당신과 함께 견디어낼 테니까요
Noli metuere, una tecum bona mala tolerabimus
테렌티우스의 희곡 포르미오에서 나온 대사다
놀리 메투아레 우나 테콤 보나 말라 톨레바비우스 (~마라 두려워하다 함께 너와 함께 좋은 일 나쁜 일 견디어낼 것이다)
728x90반응형